메뉴 건너뛰기

성명/보도자료

2월16일(월) 각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공공기관에 대해 대졸신입사원의 초임을 삭감하고 이 재원으로 신규인력을 더 충원하라는 지침을 내릴 계획이라고 한다. 정부는 자신들의 주장이 무리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인지, 공문을 통한 공식적인 확인을 삼간 채, 개별 공공기관들을 압박하여 “대졸초임 삭감=일자리 창출”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정부의 대책은 “일자리 만들기”에 초점이 있다기 보다는, 실업대란을 틈탄 “임금삭감 강요”가 진짜 의도다.
  정부는 이미 작년 12월19일 “4차 공공기관 선진화방안”을 통해 69개 공공기관에 대해 평균13%의 정원을 감축하여, 1만9천명의 인력을 줄일 것을 지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서 각 공공기관들은 신규채용도 중단하고, 기존에 근무하는 인력에 대해서도 희망퇴직을 종용하는 등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정부도 잘 알고 있는 것처럼 공공기관의 인력은 정부가 정원을 늘려주기 전에는 더 늘어날 수가 없다. 즉, 대졸 초임을 아무리 깍아보았자 일자리가 늘지 않는다는 것은 정부가 오히려 더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이런 모순된 정책에는 노조 뿐 아니라 현장의 회사측 담당자들마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그렇다면 정부의 의도는 더욱 의심스럽다. 일자리를 늘이자면 정원을 늘려야할 텐데, 왜 임금을 깍자고 변죽을 울리는가?
  언론에 보도되는 것처럼 신규채용자 임금삭감의 폭은 15%에서 최대 30%에 이르고 있다. 앞으로 각 공공기관 안에서 심각한 세대간 위화감을 낳고 근무의욕을 크게 저하시킬 수밖에 없는 정책이다. 게다가 이런 정도의 삭감이라면 임금의 일부를 손보는 것이 아니라 임금체계 전체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앞으로 신규채용 시 대졸자 초임만이 아니라 기존 직원의 임금삭감까지도 압박하려는 것이 아닌가?
  공공노조를 비롯한 공공운수연맹, 민주노총은 그 동안 각종 토론회와 기자회견 등을 통해 정책적 대안으로 “공공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요구해왔다. 부자들과 재벌에 세금을 깍아줄 것이 아니라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늘이라는 것이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고용창출효과가 낮을 뿐 아니라 일용직 등의 불안정한 일자리를 만드는 토건사업, 4대강 정비사업 등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경제위기 상황에서 생존권에 위협을 받고 있는 저임금 노동자, 서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 간병, 보육 등 사회서비스 등 공공서비스 일자리 창출이 더 시급하다.
  정부는 국민을 현혹하는 “임금삭감=일자리 창출”이라는 허구적인 선전을 중단하라. 일자리를 창출할 의지가 있다면 강제적인 인력구조조정 계획을 철회하고 공공기관에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밝혀야한다. 부자 감세를 중단하고 10대 재벌에만 200조에 이르는 사내유보금을 일자리를 만드는 데 투자하라.
  “고통분담”을 말하더니 정작 정부가 내놓은 것은 노동자와 서민에 대한 “고통전담”뿐이다. 경제위기를 틈타 인력구조조정, 임금삭감을 동시에 추진하려는 정책을 중단하라. <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보도자료 [보도자료] 대구가톨릭대의료원 직원도 환자도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file

  • 본부
  • 2020-02-26
  • 조회 수 17953

보도자료 국민의 생명까지 돈벌이․이윤의 도구로 전락시키는 ‘보험업법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file

보도자료 [기자회견문]공공부문노동자의 단체행동권을 침해하는 필수유지업무는 또 다른 직권중재이며 위헌이다. file

보도자료 [취재요청 및 보도자료] 10/19 정부의 사회서비스 확충전략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 보도요청 file

보도자료 서울대병원은 근로조건 후퇴없는 고용승계 이행하라

보도자료 하청노동자 단체행동권 말살하는 필수유지업무결정 철회하라 file

보도자료 야4당 경상병원사태 적극 중재키로 나서 file

보도자료 동국대병원분회 투쟁속보47호 file

보도자료 서울시립보라매병원 의료공공성 촉구 회견 file

보도자료 경북대병원분회 쟁의행위 보도자료 file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