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보도자료

감염위험 키운 병원외주화 중단하라!

삼성서울병원에서 비정규직이라고 9일간 방치!

보라매병원 청소노동자에게 1회용 마스크 1개 주고는

더 이상 주지 않아!

 

 

이번 메르스 사태로 인해 병원이 감염에 얼마나 쉽게 노출되어 있었는지가 드러났다. 14일 현재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가 15, 확진자는 145명으로 치사율이 10%이상으로 올라갔고, 의심자는 5,208명이다. 이 속에 병원 노동자들이 있다. 삼성서울병원의 응급실 이송 인력이었던 137번 환자가 용역이라는 이유로 관리대상에서 제외되어 아픈 상황에서도 9일간 방치되어 일상 업무를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정규직 보안요원 및 환자 이송, 청소, 간병노동자 등 많은 병원 노동자들은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더욱 더 불안하고 힘들게 일하고 있다. 외주하청 등 병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제대로 된 정보제공과 필요한 예방조치에서 소외되고 있다. “환자들이 무서워 한다는 이유로 청소 노동자는 마스크도 쓰지 못한다”, “현재 메르스 병동에서 환자가 퇴원하면 그 청소는 청소 노동자가 한다노출이 걱정되지만 병원은 제대로 조치 하지 않는다.”고 병원 비정규직 노동자는 증언하고 있다.

 

감염이 의심될 경우 자가격리를 통해 일을 쉴 수 있어야 하는데 하루하루 불안정한 생계와 고용에 시달리는 외주하청노동자들은 그럴 수 없다. 제대로 된 조치는커녕 감염위험에 더 쉽게 노출되어 있으면서도 자신의 아픔을 드러낼 수 없는 조건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병원의 특성상 시시때때로 불특정 다수의 환자들과 접촉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이는 당사자의 건강 뿐 아니라 병원을 찾는 환자들에게까지 위험한 일이 될 수밖에 없다.

 

정부와 병원들이 돈벌이를 위해 의료영리화와 외주화를 진행시켜온 결과 병원이라는 공간을 안전에서 멀어지게 만들었다. 안전 사각지대에 내몰린 비정규직 병원노동자들의 증가는 병원 감염과 노동인권의 사각지대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박근혜정부와 병원자본은 의료민영화와 병원의 영리화를 위해 규제완화를 시행하고 있는 것을 즉각 중단시켜야 한다. 돈보다 생명이 우선인 병원에서조차 의료를 상품화하면서 환자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도록 해서는 안된다. 정부는 병원의 모든 업무에 대해 해당병원이 직접적인 관리와 통제를 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강화하고, 법제도를 바꾸고 적정인력을 정규직으로 충원해야 한다.

 

- 외주하청 등 비정규직노동자에게 정보제공 및 안전조치와 생계를 보장하라!

- 병원을 위험하게 만드는 병원업무 외주화를 철회하고,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하라!

2015.06.15.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지역지부

 

문의: 서울대병원분회 우지영 사무장 (010-2048-57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경상병원투쟁속보52-단식 22일차 신은정분회장 쓰러져서야 경산삼성병원 안으로 file

경상병원투쟁속보53-투쟁 565일, 합의했지만 복직은 못해 file

기타 음주문화연구센터 관련 국세청 항의서한 file

건강검진 등 삼성병원 이용거부 운동 돌입!!! file

[기자회견문]경산삼성병원, 노조 파괴공작 실체 폭로 기자회견

[기자회견문]서울지방노동청 규탄, 서울지방노동위 공정심판 촉구

[성명] 국민건강권 팔아먹는 영리병원 도입절차 즉각 폐기하라

  • 본부
  • 2012-11-05
  • 조회 수 6638

[보도자료]서울대병원 심야수술 3년 만에 65% 증가. 의사차등성과급제 때문.

  • 본부
  • 2012-11-05
  • 조회 수 7293

[보도자료]의료연대본부 경북대병원분회 14일 파업돌입 file

  • 본부
  • 2012-11-12
  • 조회 수 32335

[취재요청]경북대병원분회 파업돌입 출정식 file

  • 본부
  • 2012-11-13
  • 조회 수 1018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