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노동과 세계]http://worknworld.kctu.org/news/articleView.html?idxno=501211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10일 동화면세점 앞에서 의료민영화 저지! 노동개악 저지! 인력감축 저지!를 외치며 국민건강을 지키기 위한 총파업총력투쟁 대회를 진행했다. 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이 파업을 진행하고 결합했으며 그 외 사업장은 대의원대회, 연차 등을 통해 결합하여 진행됐다.

 

 

 

의료연대본부 이향춘 본부장은 대회사를 통해 “코로나 3년 내내 긴장과 비상상태에서 묵묵하게 일했지만 맡은 업무만 한다고 국민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며 이런 현실을 바꾸기 위한 투쟁에 직접 나설 것”을 선포했다. 또 “단 한명의 환자도 포기하지 않고 안전하게 돌볼 수 있도록,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하고 국민들의 건강권이 지켜질 수 있도록 지치지 않고 요구하고 투쟁해나가겠다”고 결의를 밝혔다.

윤태석 서울대병원분회장은 “병원인력의 부족은 환자안전 위협까지 이어지고 있다. 간호사 1인당 평균 10명 이상의 환자를 담당하고 최대 15~16명까지 돌보면서 감당할 수 없는 노동강도로 인해 간호사들의 줄사직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이는 의료서비스 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음에도 서울대병원은 어떠한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 이런 와중에 윤석열 정부는 인력을 축소하라고 했고, 병원은 정기증원 인력도 포기하여 서울대병원의 인력문제는 더 심각해질 예정이다.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은 의료연대본부와 함께 가짜 혁신안을 폐기시켜 서울대병원 공공성을 강화하고 필수인력 충원을 통해 의료질을 강화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다.”라고 발언하며, 정부의 지침이 환자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을 알렸다.

우성환 경북대병원분회장은 “국립대병원의 인력부족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정부는 병원인력 충원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경북대병원은 2020년과 21년 노사가 임단협에서 합의했던 인력조차 기재부에서 승인하지 않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위중증 코로나 환자들의 대부분을 공공기관인 국립대병원이 담당하고 있었고, 이후로도 책임을 져야 한다. 국립대병원의 의료인력 확보가 시급한 문제인 만큼 기재부는 하루 빨리 증원을 승안하고 의료인력확보를 위해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라며 정부가 책임을 다할 것을 꼬집었다.

파업에 참가한 홍소의 간호사는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정원은 더욱 감축될 위기에 처했고 앞으로의 인력 충원은 없을 것이다. 안전한 병원이 되기 위해서 인력충원은 필수적인데 이렇게 되면 환자의 안전은 누가 책임질 수 있겠는가? 또 다른 신종 감염병 유행이 닥치게 되면 우리는 또 다시 무너질 것이다.”라며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른 인력감축을 비판하였다.

 

 

 

의료연대본부 신은정 수석부본부장은 “오늘 우리가 모여 만든 파업과 총력투쟁은 끝이 아님을 윤석열 정부는 똑똑히 알아야 한다. 코로나 19라는 재난 속에 뿌려진 병원 노동자들과 돌봄 노동자들의 희생과 눈물을 배신하고 계속 인력 감축과 구조조정을 요구한다면 지난 3년간 참아왔던 분노가 두배 세배의 더 큰 투쟁으로 번져 나갈 것임을 경고한다.”라며 윤석열 정부를 향해 경고했다.

파업의 핵심 쟁점인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과 관련된 내용들은 국립대병원의 주무부처인 교육부가 해결의 열쇠를 가지고 있다. 의료연대본부는 인력을 감축하며 환자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 아니라 국립대병원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함을 요구하며 교육부에 노사정협의체를 제안한바 있다. 의료연대본부는 교육부의 답변에 따라 2차 파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669 이송부터 간호조무까지… ‘외주화’가 키운 메르스 0623경향신문 2015-06-24 296
668 “원격의료법, 병원 아닌 삼성전자가 원해…” 0624노컷뉴스 2015-06-24 348
667 ‘1차 확산’ 평택성모 “코호트 격리하자 했더니 정부가 막아” 0622한겨례 2015-06-24 437
666 [특집]공공의료 강화·병원시스템 바꿔라 0624주간경향 2015-06-24 435
665 [메르스 사태 똑바로 보자] "보호자 어디 계세요?".. 환자 가족이 '간호 대체 인력' 0624국민일보 2015-06-24 306
664 “병원장이 노조지부장에게 간호사 구해달라 요청하는 웃지 못할 상황” 0624라포르시안 2015-06-24 323
663 메르스 사태로 주목 받는 성남시립의료원 0624민중의소리 2015-06-24 381
662 보건당국 허술한 역학조사에 무방비로 뚫린 강동성심병원 0623라포르시안 2015-06-24 309
661 병원들 “메르스 차단 ‘러시안룰렛’ 같다”…허술한 방역망에 속수무책 0624라포르시안 2015-06-24 322
660 '코호트' 피해간 삼성병원…'부분폐쇄' 실효성 있나 0625노컷뉴스 2015-06-25 379
659 [메르스 사태 똑바로 보자] OECD 평균 공공병원 비중 75%, 한국은 10% 안돼 0625국민일보 2015-06-25 315
658 박근혜, 메르스 사과마저 이재용에 ‘외주화’했나 0624미디어오늘 2015-06-25 548
657 [메르스 사태 똑바로 보자] ‘강요된’ 가족 간병, 메르스 대란 주범 0624국민일보 2015-06-25 653
656 “메르스 피해 병의원 돕겠다” 정부·정치권 말잔치…실상은 “대출받으세요” 0625라포르시안 2015-06-26 243
655 평소엔 ‘애물단지’ 취급하다가 위기 때면 공공병원 찾아 0625라포르시안 2015-06-26 479
654 “한국 의료시스템, 메르스 감당할 만한 수준 아니다” 0626라포르시안 2015-06-26 348
653 한방에 정리하는 삼성서울병원 '의혹' 0616오마이뉴스 2015-06-26 601
652 메르스 자문위원들 “예상 시나리오까지 줬는데 조치 없었다" 0625미디어오늘 2015-06-28 373
651 “의료급여 수급자에 대한 낙인찍기·쥐어짜기 정책 중단해야” 0629라포르시안 2015-06-29 268
650 [단독] ‘감염병 백서’ 만들고도 내팽개친 정부 0629세계일보 2015-07-01 25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