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노동과 세계]http://worknworld.kctu.org/news/articleView.html?idxno=501211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10일 동화면세점 앞에서 의료민영화 저지! 노동개악 저지! 인력감축 저지!를 외치며 국민건강을 지키기 위한 총파업총력투쟁 대회를 진행했다. 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이 파업을 진행하고 결합했으며 그 외 사업장은 대의원대회, 연차 등을 통해 결합하여 진행됐다.

 

 

 

의료연대본부 이향춘 본부장은 대회사를 통해 “코로나 3년 내내 긴장과 비상상태에서 묵묵하게 일했지만 맡은 업무만 한다고 국민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며 이런 현실을 바꾸기 위한 투쟁에 직접 나설 것”을 선포했다. 또 “단 한명의 환자도 포기하지 않고 안전하게 돌볼 수 있도록,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하고 국민들의 건강권이 지켜질 수 있도록 지치지 않고 요구하고 투쟁해나가겠다”고 결의를 밝혔다.

윤태석 서울대병원분회장은 “병원인력의 부족은 환자안전 위협까지 이어지고 있다. 간호사 1인당 평균 10명 이상의 환자를 담당하고 최대 15~16명까지 돌보면서 감당할 수 없는 노동강도로 인해 간호사들의 줄사직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이는 의료서비스 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음에도 서울대병원은 어떠한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 이런 와중에 윤석열 정부는 인력을 축소하라고 했고, 병원은 정기증원 인력도 포기하여 서울대병원의 인력문제는 더 심각해질 예정이다.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은 의료연대본부와 함께 가짜 혁신안을 폐기시켜 서울대병원 공공성을 강화하고 필수인력 충원을 통해 의료질을 강화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다.”라고 발언하며, 정부의 지침이 환자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을 알렸다.

우성환 경북대병원분회장은 “국립대병원의 인력부족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정부는 병원인력 충원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경북대병원은 2020년과 21년 노사가 임단협에서 합의했던 인력조차 기재부에서 승인하지 않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위중증 코로나 환자들의 대부분을 공공기관인 국립대병원이 담당하고 있었고, 이후로도 책임을 져야 한다. 국립대병원의 의료인력 확보가 시급한 문제인 만큼 기재부는 하루 빨리 증원을 승안하고 의료인력확보를 위해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라며 정부가 책임을 다할 것을 꼬집었다.

파업에 참가한 홍소의 간호사는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정원은 더욱 감축될 위기에 처했고 앞으로의 인력 충원은 없을 것이다. 안전한 병원이 되기 위해서 인력충원은 필수적인데 이렇게 되면 환자의 안전은 누가 책임질 수 있겠는가? 또 다른 신종 감염병 유행이 닥치게 되면 우리는 또 다시 무너질 것이다.”라며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른 인력감축을 비판하였다.

 

 

 

의료연대본부 신은정 수석부본부장은 “오늘 우리가 모여 만든 파업과 총력투쟁은 끝이 아님을 윤석열 정부는 똑똑히 알아야 한다. 코로나 19라는 재난 속에 뿌려진 병원 노동자들과 돌봄 노동자들의 희생과 눈물을 배신하고 계속 인력 감축과 구조조정을 요구한다면 지난 3년간 참아왔던 분노가 두배 세배의 더 큰 투쟁으로 번져 나갈 것임을 경고한다.”라며 윤석열 정부를 향해 경고했다.

파업의 핵심 쟁점인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과 관련된 내용들은 국립대병원의 주무부처인 교육부가 해결의 열쇠를 가지고 있다. 의료연대본부는 인력을 감축하며 환자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 아니라 국립대병원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함을 요구하며 교육부에 노사정협의체를 제안한바 있다. 의료연대본부는 교육부의 답변에 따라 2차 파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649 '고위험 바이러스' 박근혜정부 어쩌나 0629오마이뉴스 2015-07-01 436
648 ‘메르스 사태의 아이러니’…병원·환자는 죽을 지경, 건보 재정은 사상최대 흑자 0630라포르시안 2015-07-01 251
647 첫번째 환자와 ‘희생양 찾기’ 0630한겨례신문 2015-07-01 288
646 재활치료 전문 고려수병원, 노조탄압도 전문? 0630민중의소리 2015-07-01 1107
645 응급의료기관 구조 바꾼다..격리병상·구역 분리 의무화(종합) 0629뉴스1 2015-07-01 296
644 메르스 사태 이후, 세월호 참사에서 배우는 것 0629시민건강증진연구소 2015-07-01 379
643 [단독]“삼성병원, 역학조사관 문전박대… 연락처도 없는 접촉자 명단 제출” 0701경향 2015-07-01 376
642 [단독] 삼성서울, 메르스 초기 정부 역학조사 방해했다 0701한겨례 2015-07-01 387
641 메르스 진정세 돌아섰지만 7월 비수기 맞은 병원들…“엎친데 덮친 꼴” 0701라포르시안 2015-07-01 355
640 “메르스와 싸웠더니 남은건 병원 파산 걱정…정부서 사태 심각성 몰라” 0701라포르시안 2015-07-01 386
639 [칼럼] 메르스 사태 ‘그 이후’ 무엇을 해야 하는가? 0629라포르시안 2015-07-03 227
638 재활치료사들의 눈물 “오래 일할 수 있는 병원 만들겠다” 0701민중의소리 2015-07-03 316
637 [기자수첩] 탄저균 반입 한 달, 박근혜 대통령님 의지는 있었나요? 0630민중의소리 2015-07-03 304
636 [왜냐면] 불안정한 간병인 고용, 불안전한 간병시스템 / 김미현 0701한겨례 2015-07-03 328
635 "메르스 슈퍼전파자는 의료민영화 정책의 결과물" 0702뉴시스 2015-07-03 255
634 '메르스의 일깨움'..한국식 병문안 문화 대변화 조짐 0703연합뉴스 2015-07-03 406
633 김우주 “복지부 SOS 받고 갔더니 평택성모 역학조사 자료도 없었다” 0703라포르시안 2015-07-03 282
632 1년전, 문형표 “사우디에 의료기술 전수”…1년뒤, 사우디에 메르스 경험 전수 받아 0702라포르시안 2015-07-05 295
631 공공병원 파괴 폐허 위에서 ‘서부시대 개막’ 선언한 홍준표 0703라포르시안 2015-07-05 270
630 건대병원 등 메르스 피해 병원 21곳에 160억 우선 지원 0704라포르시안 2015-07-05 47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