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매일노동뉴스]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245

 

▲ 보건의료노조와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등 국립대병원 노조 공동투쟁 연대체 구성원들이 2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국립대병원 정원 동결 기재부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이 인력증원이 이뤄지지 않아 인력부족에 따른 노동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기획재정부의 일방적 결정이 아닌 노사 자율에 따라 인력증원을 결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와 보건의료노조 소속 13개 국립대병원 노조가 모인 ‘국립대병원 노조 공동투쟁 연대체’는 2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연대체는 기재부가 매년 국립대병원 인력 요청을 받아 교육부를 통해 승인해 왔는데 지난해 7월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증원이 1명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국립대병원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로 국민을 치료할 책무를 가지고 있다”며 “단 1명의 인력도 늘리지 못하는데 그 책무를 어떻게 지킬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인력부족으로 인해 현장에서는 노동강도가 높아지고 불법의료행위에 내몰린다는 증언이 나왔다. 한지연 의료연대본부 강원대병원분회장은 “외래 간호조무사는 대체인력이 없어 본인이나 가족이 아플 때도 쉬지 못한다”며 “선임 간호사는 허겁지겁 식사를 할 때가 부지기수고 신규 간호사는 눈치껏 과자 부스러기로 (끼니를) 때우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권종 보건의료노조 전남대병원지부장은 “가뜩이나 간호인력이 부족한데 숙련간호사들이 PA간호사로 전환되고 있다”며 “처방이나 투약 같은 부당한 지시가 내려왔을 때 이를 거부하기 힘들고 결국 불법의료행위를 하게 되는 꼴”이라고 말했다.

연대체는 “인력을 총정원제라는 명목으로 묶어 두기 때문에 현장의 노동강도는 갈수록 가중되고, 사직자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며 “기재부의 사전 승인 없이도 증원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노사 자율정원제도를 도입해 공공병원으로서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49 삼성서울병원 20일 0시 부분폐쇄 해제 0717오마이뉴스 2015-07-20 184
648 한국 노년 평균 10.46년, 아프면서 산다 1016오마이뉴스 2015-10-18 184
647 내년 보험료 규제 폐지 ‘실손보험’ 크게 오른다 1018한겨례신문 2015-10-18 184
646 복지부 "삼성서울병원, 80번 메르스 환자 조치 미흡했다" 1020한국일보 2015-10-25 184
645 규제완화와 민영화 등, 안전 위협과 사회적 낭비 초래 1028레디앙 2015-11-01 184
644 공공운수노조, 경북대병원 근기법 위반 혐의로 고발 1106매일노동뉴스 2015-11-06 184
643 [서리풀연구통]암 치료에도 ‘동네 의사’가 중요하다 1119시민건강증진연구소 2015-11-20 184
642 "경제활성화법이라니 … 의료민영화법 여야 합의 철회하라" 1124매일노동뉴스 2015-11-29 184
641 병원 노동자의 눈으로 돌아본 메르스 사태 1209매일노동뉴스 2015-12-10 184
640 취업규칙 불법 변경 서울대병원장 처벌 촉구 1217레디앙 2015-12-21 184
639 대통령이 맞았다는 그 줄기세포주사 1122슬로우뉴스 2016-11-29 184
638 서울대병원장, 최순실 단골 '김영재 봉합사' 도입 압력? 1130프레시안 2016-12-05 184
637 낙상 환자 입원비 120만 원, 간병비는 260만 원? 0824프레시안 2015-08-31 185
636 청주시 노인전문병원 왜 폐업까지 했나 0607미디어충청 2015-08-24 185
635 의료연대본부 “교육부 임금피크제 강압, 노사관계 불법개입” 1110쿠키뉴스 2015-11-11 185
634 민주노총 “취업 규칙 임의 변경 만연” 1118아시아투데이 2015-11-19 185
633 與 “서비스산업법에 보건의료 포함” 野 “왜 말 바꾸나” 1208라포르시안 2015-12-10 185
632 복지부, 외국계 영리병원 첫 설립 승인 1218연합뉴스 2015-12-18 185
631 복지부, 메르스 피해 병의원·약국 등 손실보상금 1781억 확정 1215라포르시안 2015-12-21 185
630 여행객도 병원비 공짜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0904오마이뉴스 2015-09-08 18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