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노동과 세계]http://worknworld.kctu.org/news/articleView.html?idxno=502638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30일 2시 서울역 광장에서 병원인력충원, 의료민영화 저지, 노동개악 저지, 윤석열 정권 퇴진 투쟁을 선포했다. 결의대회에는 의료연대본부 조합원들뿐만 아니라 민주노총 서울본부,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너머서울, 서울지역대학인권동아리 동국대지부, 분당서울대병원 노동조합, 정의당 서울시당도 함께했다.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의료연대본부 이향춘 본부장은 “공공병상 확대, 돌봄인력 확충, 의료공공성 확대는 병원 노동자들만의 요구가 아니었다. 국가가 국민들의 건강권을 책임져야 한다는 병원돌봄노동자들의 요구에 대해 국민들이 공감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건강권 보장성 강화는 포퓰리즘이라며 안정성을 무시한 원격진료와 개인의 건강정보를 민간보험사에 팔아넘기는 탈취법(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추진, 민간보험 활성화에 정부가 앞장서고 있다. 보건의료와 돌봄의 영역마저 상품화해서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의료비를 부담시키고 있는 것이다. 의료민영화 폭주기관차를 몰고 가는 윤석열 정부에 맞서 폭주기관차를 멈추기 위해 의료연대본부는 7월 민주노총 총파업, 10월 공공운수노조 투쟁에 함께할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에 맞서 투쟁할 것을 결의했다.

의료연대본부 서울지부 서울대병원분회 홍소의 조직부장은 “인력이 부족하다는 간호사들의 절박한 목소리와 수 많은 간호사들의 사직이 있었지만 병원의 노동현장은 바뀌지 않았다. 지난 3년간 5% 밖에 되지 않는 공공병원들이 90%의 코로나 환자를 돌봤다. 그런 공공병원에 가하는 기재부의 아이러니한 인력통제, 임금통제에 대해 계속해서 비판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발언했다.

대구지부 대구동산의료원분회 최지영 부분회장 “많은 간호사가 현장을 떠나는 것은, 간호사가 담당해야 하는 환자 수가 너무 많고, 환자 한 명에 대한 업무량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이다. 간호사 1인이 담당하는 환자 수를 법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그래야만 간호사들이 현장을 떠나지 않고 오롯이 간호에만 집중할 수 있을 것이고, 그래야만 시민 여러분이 마음 놓고 안전한 환경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다”며 환자안전에 직결된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 수 법제화의 중요성을 알렸다.

의료연대본부 울산대병원분회 이장우 부분회장은 “울산대학교병원은 2021년도에 영남권에서 매출 1위를 했다며 현수막을 걸었다. 병원에서 매출이 1등이라는 것은 그만큼 환자들을 많이 봤고 또 그 환자들을 통해서 과잉진료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이다. 또 매출 1등의 뒷면에 숨어있는 노동자들의 고통이 있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며 “병원 노동자들은 돈벌이 하는 병원의 직원이고 싶지 않다. 건강하게 일하고 싶다. 노동자들이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투쟁하겠다”고 발언했다.

서울지부 서울대병원분회 백승필 조합원은 “야간근무에는 건물별로 2명이 근무하여 2인 1조로 작업을 하지 못하며 야간근무 시 긴급상황이 발생 되면 다른 건물에서 근무하는 근무자가 와서 응급조치를 같이 도와주고 있는 상황이다. 인력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대체근무나 사고위험은 병원시설 노동자들 대부분이 겪고 있는 문제고 그래서 병원 인력 충원은 시급히 해야한다.”며 병원 현장의 노동실태를 밝혔다.

강원대병원분회 이요한 수석부분회장은 “강원대학교병원은 2023년 단체협상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 지금 병원에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90%의 조합원이 인력충원을 1순위로 꼽았다. 그러나 인력충원이 제대로 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늘 기재부가 가로막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국립대학교병원의 현실은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으면서 이제는 가짜 혁신가이드라인을 들이밀며 국민을 우롱하고 의료인력 충원을 가로막고 있다”며 기재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의 날 진행

결의대회 참가자들은 행진하여 용산 전쟁기념관 정문으로 이동 후 대통령집무실 앞 마무리집회를 가졌다.

의료연대본부는 “의료의 공공성을 약화시키고 의료민영화 정책만을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를 규탄하며 7월 민주노총 총파업 투쟁과 10월 공공운수노조 투쟁에 나설 것이다. 병원•돌봄의 공공성 확대와 인력충원,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결의를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649 '고위험 바이러스' 박근혜정부 어쩌나 0629오마이뉴스 2015-07-01 436
648 ‘메르스 사태의 아이러니’…병원·환자는 죽을 지경, 건보 재정은 사상최대 흑자 0630라포르시안 2015-07-01 251
647 첫번째 환자와 ‘희생양 찾기’ 0630한겨례신문 2015-07-01 288
646 재활치료 전문 고려수병원, 노조탄압도 전문? 0630민중의소리 2015-07-01 1107
645 응급의료기관 구조 바꾼다..격리병상·구역 분리 의무화(종합) 0629뉴스1 2015-07-01 296
644 메르스 사태 이후, 세월호 참사에서 배우는 것 0629시민건강증진연구소 2015-07-01 379
643 [단독]“삼성병원, 역학조사관 문전박대… 연락처도 없는 접촉자 명단 제출” 0701경향 2015-07-01 376
642 [단독] 삼성서울, 메르스 초기 정부 역학조사 방해했다 0701한겨례 2015-07-01 387
641 메르스 진정세 돌아섰지만 7월 비수기 맞은 병원들…“엎친데 덮친 꼴” 0701라포르시안 2015-07-01 355
640 “메르스와 싸웠더니 남은건 병원 파산 걱정…정부서 사태 심각성 몰라” 0701라포르시안 2015-07-01 386
639 [칼럼] 메르스 사태 ‘그 이후’ 무엇을 해야 하는가? 0629라포르시안 2015-07-03 227
638 재활치료사들의 눈물 “오래 일할 수 있는 병원 만들겠다” 0701민중의소리 2015-07-03 316
637 [기자수첩] 탄저균 반입 한 달, 박근혜 대통령님 의지는 있었나요? 0630민중의소리 2015-07-03 304
636 [왜냐면] 불안정한 간병인 고용, 불안전한 간병시스템 / 김미현 0701한겨례 2015-07-03 328
635 "메르스 슈퍼전파자는 의료민영화 정책의 결과물" 0702뉴시스 2015-07-03 255
634 '메르스의 일깨움'..한국식 병문안 문화 대변화 조짐 0703연합뉴스 2015-07-03 406
633 김우주 “복지부 SOS 받고 갔더니 평택성모 역학조사 자료도 없었다” 0703라포르시안 2015-07-03 282
632 1년전, 문형표 “사우디에 의료기술 전수”…1년뒤, 사우디에 메르스 경험 전수 받아 0702라포르시안 2015-07-05 295
631 공공병원 파괴 폐허 위에서 ‘서부시대 개막’ 선언한 홍준표 0703라포르시안 2015-07-05 270
630 건대병원 등 메르스 피해 병원 21곳에 160억 우선 지원 0704라포르시안 2015-07-05 47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