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https://www.nocutnews.co.kr/news/6011156 (노컷뉴스)

 

 

코로나19 유행기간 최전선을 지켜온 국립대병원 노동조합들이 원내 '인력난'이 한계에 이르렀다며, 재정당국의 증원 통제를 규탄했다. 이들은 주무부처인 교육부와 기획재정부가 즉각 인력 충원 요구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및 보건의료노조 산하 13개 국립대병원 노조가 모인 '국립대병원 공동투쟁연대체'는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대병원의 인력 증원 승인권을 쥐고 있는 기재부가 과도한 통제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대체는 기재부가 전국 국립대병원의 정원을 사실상 동결해 왔다며,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대두된 '공공의료 강화' 필요성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5월 이후 이른바 '필수의료'에 속하는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를 제외하곤 국립대병원의 의료 인력이 "단 한명도 충원되지 않았다"는 게 연대체의 주장이다.
 
코로나 방역은 일상적 의료체계로 전환됐지만, 팬데믹 기간 소진된 의료인력의 퇴사도 잇따르고 있다.
 
홍소희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 교섭단장은 "숙련된 간호사들이 부족한 인력으로 코로나19 시기를 버티고 버티다가 이제 줄줄이 사직하면서 환자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그 빈자리를 신규 간호사가 온전히 채워야 하는 위험한 상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서울대병원, 보라매 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는 아직도 1인당 환자 3명을 돌보고 있고 신생아 중환자실은 최대 5명까지도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홍 단장은 "미국과 호주, 일본은 중환자실 간호사 대 환자 수를 1 대 2로, 인공호흡기 착용환자는 1 대 1로 규정하고 있다"며 "우리는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간호사들을 잃어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현재 인력 확충 교섭이 진행 중인 공공운수노조 산하 국립대병원분회들은 사측에서 '기재부 승인'을 무기로 내세워 논의가 난항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연대체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교육부는 '인력 증원은 기재부의 권한'이라며 책임을 회피하고, 기재부는 노조와 면담조차 거부하며 국립대병원의 심각한 인력 부족 문제를 방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립대병원의 인건비는 국민의 세금이 아닌, 자체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재부가 책임지지 않는 권한만 행사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립대병원노조 공동투쟁연대체는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국립대병원분회 노사교섭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파업을 통한 총력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 제공국립대병원노조 공동투쟁연대체는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국립대병원분회 노사교섭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파업을 통한 총력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 제공
수년째 제자리걸음인 급여의 원인인 '임금 가이드라인'도 폐지해달라고 요구했다.
 
연대체는 "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은 정부의 공공기관 임금 가이드라인 1.7%에 따른 임금인상율이 적용된다. 총액인건비로 인한 임금통제를 받고 있는 것"이라며 "매년 민간병원 임금이 3~5% 오를 때 국립대병원은 평균 1.4% 인상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사실상 '임금 삭감'과 다를 바 없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또 "이러한 격차가 누적되면서 국립대병원의 숙련된 의료인력 이탈이 늘어나고 있다"며 "국립대병원 공공성을 강화하고 의료 질 저하를 막기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 임금 가이드라인은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정적인 인력 확보와 동시에 민간과의 임금격차를 해소하려면 '공공의료수당'을 법제화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요구사항이다.
 
인력 증원과 임금 인상 합의가 불발될 경우,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서울대병원·경북대병원 등 사업장마다 파업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연대체는 "공개채용 과정은 인력 승인-채용공고-서류전형-시험-최종면접 등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하고, 채용된 인력이 일정 기간의 교육을 거쳐서 현장에 투입된다"며 "아무리 서둘러도 6개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2년을 인력 증원 없이 버텨왔다. 지금 당장 기재부는 국립대병원의 인력 요청에 답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29 간병노동자 현실 외면한 청주시노인병원 정년60세 주장... 현실은? 0514미디어충청 2015-06-06 424
728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의료민영화 논쟁 재점화 0222매일노동뉴스 2016-02-22 422
727 메르스 사태, 주목받는 '홍준표 방지법' 0616프레시안 2015-06-17 421
726 "메르스 재앙, 박근혜 정부 사과하라" 0611베이비뉴스 2015-06-11 420
725 메르스로 사망한 활동보조인, 그림자노동의 슬픔 0708뉴스민 2015-07-09 419
724 '진료보다 주변 시선이 더 힘들다' : 메르스 의료진의 호소 0609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5-06-09 418
723 보건복지부 올해 업무계획이 기가 막혀…“전부 의료산업 육성 정책뿐” 0119라포르시안 2016-02-04 416
722 190403 국립대병원 노동자들 교육부 앞 천막농성 돌입 2019-04-05 408
721 '메르스의 일깨움'..한국식 병문안 문화 대변화 조짐 0703연합뉴스 2015-07-03 406
720 “의사들 한번 쓰고 버리는 마스크, 비정규직은 하루 2개 뿐” 0617미디어오늘 2015-06-17 406
719 ‘의료보험 개혁’ 공약 지키고 논문까지 낸 오바마…박근혜 공약은? 0713라포르시안 2016-07-15 401
718 세계과학기자들이 말하는 한국 메르스 대응수준 0611미디어오늘 2015-06-12 400
717 국립 경북대병원, 응급실 수납·콜센터·식당 '외주화' 논란 0428프레시안 2016-05-03 397
716 메르스 확산, 한국형 의료재난 0613경향신문 2015-06-15 397
715 “미국식 의료영리화 불러올 실손의보-병원 직불 정책 중단해야” 0325라포르시안 2015-06-06 396
714 공공운수노조 "방만경영 공공기관 임금동결은 위헌" 0323연합뉴스 2015-06-06 394
713 군산의료원 폐원 전북도청이 나서 막았는데, 청주시는 뭐하나? 0514미디어충청 2015-06-06 391
712 "서울대병원, 저질진료 번 돈으로 직원 성과급 뿌렸다" 0414메디칼타임즈 2015-06-06 391
711 중국, 제주에 영리병원 재추진 0402경향신문 2015-06-06 390
710 "나는 메르스 자택 격리자였다" 살벌한 로맨스의 시작 0709위키트리 2015-07-10 38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