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589

 

건강권·인권 침해 사각지대 놓인 돌봄노동자들

요양보호사 인권침해 발생시 보호조치 미흡, 간병노동자는 산재보험서 제외돼

 

6년차 요양보호사 A씨는 지난 8월8일 근무 도중 남성 치매 환자에게서 가슴 부위를 맞았다. 식사를 위해 환자를 침상으로 옮기던 중 순식간에 발생한 일이었다. 이씨는 “6년간 꼬집히고 할퀴여도 ‘치매 환자니 스스로 조심했어야 한다’ ‘실력 부족이다’ 같은 말들만 돌아왔다”고 말했다.

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돌봄노동자 건강권 및 인권보장을 위한 제도개선 마련 국회토론회’에서 나온 증언이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이날 토론회에서 요양보호사·장애인활동지원사·간병노동자 같은 돌봄노동자들이 법·제도 사각지대에 놓여 건강권·인권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회는 강은미 정의당 의원과 보건복지자원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강은희 변호사(공익인권법재단 공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특수성으로 인해 산업안전보건법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남녀고용평등법)상 노동자를 보호하는 조치들이 실효성을 가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강 변호사는 “(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급여 비용을 청구할 때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현재 급여 제공일자 및 제공시간을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급여 제공 여부에 따라 시급제로 급여를 제공한다”며 “사업주가 피해를 입은 요양보호사에 업무전환이나 휴가를 부여하려 해도 이런 제도 때문에 사실상 유급휴가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4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산업안전보건법상 작업중지권 사용을 비롯해 인권침해 상황으로부터 재가요양보호사를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보급하라고 권고를 했지만 복지부는 작업중지권 행사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권고를 일부 불수용했다.

특수고용 노동자인 간병노동자들은 산재보험 적용 대상에서조차 빠져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르면 노무제공자가 ‘다른 사람의 사업을 위한 노무를 제공하고 대가를 지급받는 사람’으로 규정돼 있는데, 간병노동자들은 서비스 이용자 개인과 직접 노무제공 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남우근 보건복지자원연구원 정책위원은 “간병노동자는 병원, 소개업체, 환자 등 다면적 근로관계에서 일하고 있지만 현재 판례는 병원, 소개업체의 사용자성을 부정하고 있다”며 “간병노동자에게 산재보험을 적용하려면 노무제공자 정의를 바꾸는 등 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상임집행위원은 “돌봄노동의 사회적 필요가 높아지는 지금 민간이 아닌 공적 기관을 통해 돌봄이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며 “돌봄노동자들은 그 공적 기관에 직접고용돼야 한다. 그래야 돌봄노동자들이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689 [연속기고①-시한폭탄 응급실] 메르스에 뚫린 것은 대한민국 의료제도이다 0612라포르시안 2015-06-16 495
688 삼성서울병원 폐쇄 사태, 병원 '외주화'가 주범? 0615프레시안 2015-06-16 535
687 메르스 바이러스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차별하지 않는다 0615라포르시안 2015-06-16 267
686 서울시, "삼성병원 비정규직 직원 중 73명 발열 증세" 0616머니투데이 2015-06-16 534
685 메르스 사태, 주목받는 '홍준표 방지법' 0616프레시안 2015-06-17 421
684 청주노인병원 노조의 '눈물 시위' 0615뉴시스 2015-06-17 355
683 [하종강 칼럼] 메르스 사태 속 노동문제, 돈보다 생명을! 0616한겨례신문 2015-06-17 430
682 삼성서울병원의 한 달 무슨 일이 있었나 0616시사인 2015-06-17 295
681 메르스 감염 간호사, 허술한 ‘D급 방호복’ 지급받았다 0616한겨례 2015-06-17 531
680 “의사들 한번 쓰고 버리는 마스크, 비정규직은 하루 2개 뿐” 0617미디어오늘 2015-06-17 406
679 병원 비정규직, 메르스 위험에 무방비 0616레디앙 2015-06-18 324
678 메르스 완치 40대 "삼성서울병원 무대책에 너무 화가 났다" 0621허핑턴포스트 2015-06-22 371
677 삼성서울병원 감염관리 최고평가 뒤엔 MB정부 ‘의료민영화’ 시도 있었다 0621민중의소리 2015-06-22 287
676 의료진 메르스 감염 왜 자꾸 일어날까? 0621오마이뉴스 2015-06-22 253
675 ‘공공의료 왜 필요한가’ 메르스 사태가 답했다 0619한겨례신문 2015-06-22 344
674 삼성서울 의료진, ‘확진환자’ 알고도 메르스 옮았다 0618한겨례신문 2015-06-22 551
673 [시론] 메르스에 내던져진 사람들 0617경향 2015-06-22 297
672 간병인 메르스 확진환자 7명, 이미 예견된 일 0619오마이뉴스 2015-06-22 354
671 [단독] 삼성서울병원, ‘탈법·특혜 논란’ 원격진료 열흘 더 연장 결정 0623민중의소리 2015-06-24 272
670 ‘공공의료’라는 환자, 어서 치료를 시작할 때 0623한겨례21 2015-06-24 26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