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589

 

건강권·인권 침해 사각지대 놓인 돌봄노동자들

요양보호사 인권침해 발생시 보호조치 미흡, 간병노동자는 산재보험서 제외돼

 

6년차 요양보호사 A씨는 지난 8월8일 근무 도중 남성 치매 환자에게서 가슴 부위를 맞았다. 식사를 위해 환자를 침상으로 옮기던 중 순식간에 발생한 일이었다. 이씨는 “6년간 꼬집히고 할퀴여도 ‘치매 환자니 스스로 조심했어야 한다’ ‘실력 부족이다’ 같은 말들만 돌아왔다”고 말했다.

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돌봄노동자 건강권 및 인권보장을 위한 제도개선 마련 국회토론회’에서 나온 증언이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이날 토론회에서 요양보호사·장애인활동지원사·간병노동자 같은 돌봄노동자들이 법·제도 사각지대에 놓여 건강권·인권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회는 강은미 정의당 의원과 보건복지자원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강은희 변호사(공익인권법재단 공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특수성으로 인해 산업안전보건법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남녀고용평등법)상 노동자를 보호하는 조치들이 실효성을 가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강 변호사는 “(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급여 비용을 청구할 때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현재 급여 제공일자 및 제공시간을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급여 제공 여부에 따라 시급제로 급여를 제공한다”며 “사업주가 피해를 입은 요양보호사에 업무전환이나 휴가를 부여하려 해도 이런 제도 때문에 사실상 유급휴가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4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산업안전보건법상 작업중지권 사용을 비롯해 인권침해 상황으로부터 재가요양보호사를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보급하라고 권고를 했지만 복지부는 작업중지권 행사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권고를 일부 불수용했다.

특수고용 노동자인 간병노동자들은 산재보험 적용 대상에서조차 빠져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르면 노무제공자가 ‘다른 사람의 사업을 위한 노무를 제공하고 대가를 지급받는 사람’으로 규정돼 있는데, 간병노동자들은 서비스 이용자 개인과 직접 노무제공 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남우근 보건복지자원연구원 정책위원은 “간병노동자는 병원, 소개업체, 환자 등 다면적 근로관계에서 일하고 있지만 현재 판례는 병원, 소개업체의 사용자성을 부정하고 있다”며 “간병노동자에게 산재보험을 적용하려면 노무제공자 정의를 바꾸는 등 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상임집행위원은 “돌봄노동의 사회적 필요가 높아지는 지금 민간이 아닌 공적 기관을 통해 돌봄이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며 “돌봄노동자들은 그 공적 기관에 직접고용돼야 한다. 그래야 돌봄노동자들이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09 경상남도, “진주의료원 재개원 주민투표 청구 각하” 1012민중의소리 2015-10-13 177
708 [위법논란은 모르쇠] 기재부 "공공기관 91.7% 임금피크제 도입" 1105매일노동뉴스 2015-11-06 177
707 HOME 의료정책 특검, 서울대병원·김영재의원 등 압수수색…‘의료 농단’ 수사 본격화 1228라포르시안 2016-12-29 177
706 병원 간접고용 노동자들 노동조건 통일 '첫걸음' 0901매일노동뉴스 2015-09-08 178
705 "정부 건강보험 지원책무 소홀"…국민부담 증가 1106프레시안 2015-11-06 178
704 동의투표 통과 못해도…관리규정에 불과하다며…취업규칙 불이익변경 속출 1118한겨례 2015-11-19 178
703 참여연대 “여야는 의료민영화법 합의 철회하라” 1119경향신문 2015-11-20 178
702 “서비스발전법, 의료민영화·교육·공공서비스 시장화 초래” 1207라포르시안 2015-12-08 178
701 신해철의 허무한 죽음 그보다 더한 일 벌어진다 0826오마이뉴스 2015-09-08 179
700 정진엽 “원격진료, 의료 세계화 위해서라도 필요” 0824민중의소리 2015-08-31 179
699 청주노인병원 실직노동자 병원~시청 6.6㎞ 거리행진 1013한겨례신문 2015-10-19 179
698 건강 명목 담뱃값 올려놓고…금연 예산 축소 1021프레시안 2015-10-25 179
697 “임금피크제 안하면 연구소 없앤다니 어쩔 수 없이 찬성할 수밖에…” 1101한겨례신문 2015-11-04 179
696 소득 대비 의료비 지출 10% 넘으면 빈곤 확률 높아 1120프레시안 2015-11-23 179
695 보건의료인 시국선언 “국정농단·의료농단 박근혜 퇴진하라” 1124민중의소리 2016-11-25 179
694 "'의료 게이트'는 범죄…왜 처벌 못하나?" 0123프레시안 2017-01-23 179
693 수원시는 왜 '메르스'를 <일성록>으로 남겼나? 1002프레시안 2015-10-11 180
692 삼성서울병원장만 기소, 정부 책임은 없나? 1104오마이뉴스 2015-11-06 180
691 1막 끝난 메르스, 후속 대책이 필요하다 1123프레시안 2015-11-26 180
690 “보건의료 현실 개선하려면 수가체계 개선·특별법 제정 서둘러야” 1201매일노동뉴스 2016-12-05 18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