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589

 

건강권·인권 침해 사각지대 놓인 돌봄노동자들

요양보호사 인권침해 발생시 보호조치 미흡, 간병노동자는 산재보험서 제외돼

 

6년차 요양보호사 A씨는 지난 8월8일 근무 도중 남성 치매 환자에게서 가슴 부위를 맞았다. 식사를 위해 환자를 침상으로 옮기던 중 순식간에 발생한 일이었다. 이씨는 “6년간 꼬집히고 할퀴여도 ‘치매 환자니 스스로 조심했어야 한다’ ‘실력 부족이다’ 같은 말들만 돌아왔다”고 말했다.

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돌봄노동자 건강권 및 인권보장을 위한 제도개선 마련 국회토론회’에서 나온 증언이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이날 토론회에서 요양보호사·장애인활동지원사·간병노동자 같은 돌봄노동자들이 법·제도 사각지대에 놓여 건강권·인권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회는 강은미 정의당 의원과 보건복지자원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강은희 변호사(공익인권법재단 공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특수성으로 인해 산업안전보건법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남녀고용평등법)상 노동자를 보호하는 조치들이 실효성을 가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강 변호사는 “(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급여 비용을 청구할 때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현재 급여 제공일자 및 제공시간을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급여 제공 여부에 따라 시급제로 급여를 제공한다”며 “사업주가 피해를 입은 요양보호사에 업무전환이나 휴가를 부여하려 해도 이런 제도 때문에 사실상 유급휴가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4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산업안전보건법상 작업중지권 사용을 비롯해 인권침해 상황으로부터 재가요양보호사를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보급하라고 권고를 했지만 복지부는 작업중지권 행사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권고를 일부 불수용했다.

특수고용 노동자인 간병노동자들은 산재보험 적용 대상에서조차 빠져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르면 노무제공자가 ‘다른 사람의 사업을 위한 노무를 제공하고 대가를 지급받는 사람’으로 규정돼 있는데, 간병노동자들은 서비스 이용자 개인과 직접 노무제공 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남우근 보건복지자원연구원 정책위원은 “간병노동자는 병원, 소개업체, 환자 등 다면적 근로관계에서 일하고 있지만 현재 판례는 병원, 소개업체의 사용자성을 부정하고 있다”며 “간병노동자에게 산재보험을 적용하려면 노무제공자 정의를 바꾸는 등 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상임집행위원은 “돌봄노동의 사회적 필요가 높아지는 지금 민간이 아닌 공적 기관을 통해 돌봄이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며 “돌봄노동자들은 그 공적 기관에 직접고용돼야 한다. 그래야 돌봄노동자들이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669 이송부터 간호조무까지… ‘외주화’가 키운 메르스 0623경향신문 2015-06-24 296
668 “원격의료법, 병원 아닌 삼성전자가 원해…” 0624노컷뉴스 2015-06-24 348
667 ‘1차 확산’ 평택성모 “코호트 격리하자 했더니 정부가 막아” 0622한겨례 2015-06-24 437
666 [특집]공공의료 강화·병원시스템 바꿔라 0624주간경향 2015-06-24 435
665 [메르스 사태 똑바로 보자] "보호자 어디 계세요?".. 환자 가족이 '간호 대체 인력' 0624국민일보 2015-06-24 305
664 “병원장이 노조지부장에게 간호사 구해달라 요청하는 웃지 못할 상황” 0624라포르시안 2015-06-24 323
663 메르스 사태로 주목 받는 성남시립의료원 0624민중의소리 2015-06-24 381
662 보건당국 허술한 역학조사에 무방비로 뚫린 강동성심병원 0623라포르시안 2015-06-24 309
661 병원들 “메르스 차단 ‘러시안룰렛’ 같다”…허술한 방역망에 속수무책 0624라포르시안 2015-06-24 321
660 '코호트' 피해간 삼성병원…'부분폐쇄' 실효성 있나 0625노컷뉴스 2015-06-25 378
659 [메르스 사태 똑바로 보자] OECD 평균 공공병원 비중 75%, 한국은 10% 안돼 0625국민일보 2015-06-25 315
658 박근혜, 메르스 사과마저 이재용에 ‘외주화’했나 0624미디어오늘 2015-06-25 548
657 [메르스 사태 똑바로 보자] ‘강요된’ 가족 간병, 메르스 대란 주범 0624국민일보 2015-06-25 653
656 “메르스 피해 병의원 돕겠다” 정부·정치권 말잔치…실상은 “대출받으세요” 0625라포르시안 2015-06-26 243
655 평소엔 ‘애물단지’ 취급하다가 위기 때면 공공병원 찾아 0625라포르시안 2015-06-26 478
654 “한국 의료시스템, 메르스 감당할 만한 수준 아니다” 0626라포르시안 2015-06-26 348
653 한방에 정리하는 삼성서울병원 '의혹' 0616오마이뉴스 2015-06-26 601
652 메르스 자문위원들 “예상 시나리오까지 줬는데 조치 없었다" 0625미디어오늘 2015-06-28 371
651 “의료급여 수급자에 대한 낙인찍기·쥐어짜기 정책 중단해야” 0629라포르시안 2015-06-29 268
650 [단독] ‘감염병 백서’ 만들고도 내팽개친 정부 0629세계일보 2015-07-01 25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