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https://www.nocutnews.co.kr/news/6011156 (노컷뉴스)

 

 

코로나19 유행기간 최전선을 지켜온 국립대병원 노동조합들이 원내 '인력난'이 한계에 이르렀다며, 재정당국의 증원 통제를 규탄했다. 이들은 주무부처인 교육부와 기획재정부가 즉각 인력 충원 요구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및 보건의료노조 산하 13개 국립대병원 노조가 모인 '국립대병원 공동투쟁연대체'는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대병원의 인력 증원 승인권을 쥐고 있는 기재부가 과도한 통제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대체는 기재부가 전국 국립대병원의 정원을 사실상 동결해 왔다며,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대두된 '공공의료 강화' 필요성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5월 이후 이른바 '필수의료'에 속하는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를 제외하곤 국립대병원의 의료 인력이 "단 한명도 충원되지 않았다"는 게 연대체의 주장이다.
 
코로나 방역은 일상적 의료체계로 전환됐지만, 팬데믹 기간 소진된 의료인력의 퇴사도 잇따르고 있다.
 
홍소희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 교섭단장은 "숙련된 간호사들이 부족한 인력으로 코로나19 시기를 버티고 버티다가 이제 줄줄이 사직하면서 환자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그 빈자리를 신규 간호사가 온전히 채워야 하는 위험한 상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서울대병원, 보라매 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는 아직도 1인당 환자 3명을 돌보고 있고 신생아 중환자실은 최대 5명까지도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홍 단장은 "미국과 호주, 일본은 중환자실 간호사 대 환자 수를 1 대 2로, 인공호흡기 착용환자는 1 대 1로 규정하고 있다"며 "우리는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간호사들을 잃어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현재 인력 확충 교섭이 진행 중인 공공운수노조 산하 국립대병원분회들은 사측에서 '기재부 승인'을 무기로 내세워 논의가 난항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연대체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교육부는 '인력 증원은 기재부의 권한'이라며 책임을 회피하고, 기재부는 노조와 면담조차 거부하며 국립대병원의 심각한 인력 부족 문제를 방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립대병원의 인건비는 국민의 세금이 아닌, 자체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재부가 책임지지 않는 권한만 행사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립대병원노조 공동투쟁연대체는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국립대병원분회 노사교섭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파업을 통한 총력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 제공국립대병원노조 공동투쟁연대체는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국립대병원분회 노사교섭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파업을 통한 총력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 제공
수년째 제자리걸음인 급여의 원인인 '임금 가이드라인'도 폐지해달라고 요구했다.
 
연대체는 "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은 정부의 공공기관 임금 가이드라인 1.7%에 따른 임금인상율이 적용된다. 총액인건비로 인한 임금통제를 받고 있는 것"이라며 "매년 민간병원 임금이 3~5% 오를 때 국립대병원은 평균 1.4% 인상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사실상 '임금 삭감'과 다를 바 없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또 "이러한 격차가 누적되면서 국립대병원의 숙련된 의료인력 이탈이 늘어나고 있다"며 "국립대병원 공공성을 강화하고 의료 질 저하를 막기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 임금 가이드라인은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정적인 인력 확보와 동시에 민간과의 임금격차를 해소하려면 '공공의료수당'을 법제화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요구사항이다.
 
인력 증원과 임금 인상 합의가 불발될 경우,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서울대병원·경북대병원 등 사업장마다 파업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연대체는 "공개채용 과정은 인력 승인-채용공고-서류전형-시험-최종면접 등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하고, 채용된 인력이 일정 기간의 교육을 거쳐서 현장에 투입된다"며 "아무리 서둘러도 6개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2년을 인력 증원 없이 버텨왔다. 지금 당장 기재부는 국립대병원의 인력 요청에 답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9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의료민영화 논쟁 재점화 0222매일노동뉴스 2016-02-22 422
628 청주시노인병원 해고자 전원복직 촉구 삭발 0220미디어충청 2016-02-22 358
627 무상건강관리까지 기업에? 의료계, “사실상 의료민영화” 0219뉴스민 2016-02-22 941
626 경북대병원 주차장관리 비정규직 해고 사태 '점입가경' 0205매일노동뉴스 2016-02-05 433
625 “병원장 스트레스”…경북대병원, 해고자에 650만원 이행강제금 물려 0204뉴스민 2016-02-05 244
624 5일 청주시노인병원 농성장 강제철거 예고 0204미디어충청 2016-02-05 227
623 청주시 ‘법질서 확립’의 이면 0202미디어충청 2016-02-05 221
622 청주시, 분신 시도에 오히려 병원 찾아가 철거 계고장 0204레디앙 2016-02-04 301
621 김용익, '의료 공공성' 추가한 서비스법으로 맞불 0203프레시안 2016-02-04 212
620 '고용승계 요구' 권옥자 청주시노인전문병원분회장 분신 시도 0203매일노동뉴스 2016-02-04 247
619 [기고]그녀는 왜 몸에 휘발유를 부었나 0203참세상 2016-02-04 234
618 보건복지부 올해 업무계획이 기가 막혀…“전부 의료산업 육성 정책뿐” 0119라포르시안 2016-02-04 416
617 청주시노인병원 고용승계 갈등 극단 치달아 0202아시아뉴스통신 2016-02-02 244
616 청주시노인병원 인수인계 난항에 길어지는 단식농성 0121미디어충청 2016-02-02 253
615 동네 병원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0201프레시안 2016-02-01 223
614 어느 병원도 안 받는 에이즈환자, 책임은 누구? 0130프레시안 2016-02-01 211
613 임금피크제는 발 벗고 나서더니, 용역노동자 보호는 모르쇠? 0129매일노동뉴스 2016-02-01 217
612 ‘압축성장 신화’의 질곡에 빠진 한국 의료전달체계 0129라포르시안 2016-02-01 227
611 “참가자 83~88% 만족한다”는 원격의료 만족도 조사의 비밀 0128라포르시안 2016-02-01 242
610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에 예외조항 넣어도 의료재앙 못 막아" 0126매일노동뉴스 2016-02-01 222
위로